중국생활 재미나는이야기

중국 각지역 3대특산물

진명병원 2006. 4. 18. 22:45

 중국인들은 그들만의 특유한 지역 특산물을 가지고 있다.

지역 마다의 3가지 특산물을 삼보(三寶) 칭한다.

 

천진(天津)

눈압리(嫩鴨梨): 물이 많고 연한배

소롱포(小籠包): 만두

양향률자(良鄕栗子):

 

내몽고(內蒙古)

몽고마(蒙古马): 몽고의

포두강(包頭鋼): 내몽고 포두 지방의

축피화모(畜皮和毛): 가축의 가죽과

 

운남(雲南)

보이차(普耳茶): ,보이는 대리현에 있는 호수,모양이 귀처럼 생김.

대리석(大理石): 대리석

운남백약(雲南白藥): 운남의 백작약

 

강소(江蘇)

함판압(咸板鴨): 오리

진강초(鎭江醋): 진강의 식초

소주공예(蘇州工藝): 수공예품

 

강서(江西)

여강마(余江馬): 여강의 삼베

남풍귤(南豊橘): 남풍의

경덕진자기(景德鎭瓷器): 경덕진의 도자기

 

하남(河南)

남양우(南陽牛):

탕산리(湯山梨): 탕산의

허창연초(許昌烟草): 허창의 담배

 

산동(山東)

평양리(萍陽梨): 평양의

연태평과(煙台萍果): 연태의 사과

청도구조공예(靑島具雕工藝): 청도의 조개 작품들

 

호남(湖南)

동정연(洞庭蓮): 동정의 연꽃

무강아(武岡鵝): 무강의 거위

영향종저(寧響種猪): 돼지

 

북경(北京)

경태람(景泰藍): ()경태 연간에 동그릇 표면에 무늬를 내고 파란색을 발라서 구워낸 공예품.

상아조(象牙雕): 상아로 만든 조각품

옥기(玉器): 옥으로 만든 제품

 

서장(西藏)

강자담(江孜): 카펫

랍화(拉靴): 라싸의 신발

일객칙보로(日喀則普魯): 야크털로 검은색 또는 다갈색의 모포

 

신강(新疆)

화전옥(和田玉):

합밀과(哈蜜瓜): 멜론. 신강성의 하미에서 나는 참외

토로번포도(吐魯番葡萄): 포도

 

산서(山西)

번치철(繁峙鐵): 번치에서 나는

대동매(大同煤): 대동의 석탄

행화분주(杏花汾酒): (竹葉淸酒),분주는 산서성 분양현 행화촌에서 생산되는 술로 죽엽청주라고도 한다.

 

감숙(甘肅)

하곡마(河谷馬):

천수과(天水瓜): 참외

당주수연(當州水煙): 당주의 수연

 

동북(東北)

자초피(紫貂皮): 검은 담비 가죽

오랍초(烏拉草): 동북지방에서 방한을 위하여 오랍초를 넣어 신을 만든다.

길림인삼(吉林人參): 길림의 인삼

 

절강(浙江)

항주금(杭州錦): 항주의 비단

용정차(龍井茶):

금화화퇴(金華火腿): 중국 절강성 금화에서 나는 소금에 절인 돼지 뒷다리 훈제햄.

 

대만(臺灣)

세초석(細草席): 가는 풀로 자리

감자탕(甘蔗糖): 사탕수수

장뇌(樟腦): 장뇌

 

안휘(安徽)

흡현묵(翕縣墨): 흡현의

용미연(龍尾硯): 벼루

경현선지(經縣宣紙): 화선지

 

복건(福建)

대계원(大桂圓): 용안(龍眼) 다른 이름

백순간(白筍干): 죽순

수산조(壽山雕): 수산의 조각품

 

하북(河北)

기남면(冀南棉):

심주도(深州跳): 심주의 복숭아

고원마고(沽源磨姑): 고원의 버섯

 

광동(廣東)

공부차(功夫茶): 공부차

밀파라(蜜波蘿): 파인애플

대향초(大香焦): 바나나

 

광서(廣西)

사전유(沙田柚): 건조지역에서 흙속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크고 작은 돌멩이를 깔아놓은 밭에서 나는 유자.

심강어(深江魚): 깊은 강속에서 나는 물고기

합포진주(합蒲珍珠): 진주

 

호북(湖北)

수삼수(水杉樹): 수삼나무

인화포(印花布): 날염한 무명, 날염포

래봉동유(來鳳桐油): 기름

 

사천(四川)

천자차(川字茶): 2년생 초본식물, 사천성에서 주로 나며 뿌리 줄기를 그늘에 말린 소금에 절인 다음 짜서 물기를 뺀뒤 고추,산초열매,생강,감초,회향,소주 따위를 넣어 절인 식품

백공염(白貢鹽): 자연 소금

천부화생(天府花生): 땅콩